

최근 국내외적으로 합성신약 개발에 관한 각종 기술의 비약적인 진보에도 불구하고 안전성 및 유효성 측면에서 가치 있는 후보물질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입니다. 당 연구소는 독창적인 신규 저분자 물질을 자체적으로 합성하여 물질특허권을 확보하고 고유의 신약개발 과제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생체 내 면역체계의 불균형과 깊게 관련된 알러지 질환에 대하여 탁월한 효력을 나타내는 후보물질을 다수 확보하였으며, 이들 물질을 다양한 난치성 알러지 질환에 적용하여 임상적으로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 제시를 위해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정 성분이나 화합물의 약물로서 개발 가능성을 생물학적 assay와 질환의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특히 당 연구소의 약리연구팀은 혈관내피세포 기능장애 개선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수백 종의 국내 자생식물 추출물을 스크리닝하여 당사의 천연물 신약 후보를 발견하였습니다. 당 연구소에서 진행하는 저 분자 합성신약 및 천연물 신약 과제에 대해 생화학 및 생리학적 효과 연구, 약물의 흡수, 분포, 생체 내 변화 및 배설에 관련된 약동학 연구뿐 아니라, 약물의 안전성을 확인하는 독성연구 역량 등을 세계적 수준으로 높여 나가고 있습니다.

약물후보물질이 개발 과정에서 실패하는 주요 사유 중의 하나는 인체에 대한 독성입니다. 임상시험 부작용에 의해 많은 합성화합물의 개발이 좌절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식용 또는 약용 사용 예가 있는 식물로부터 유효한 약효 성분을 개발하는 천연물 신약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고부가가치 의약산업의 핵심으로 천연물 신약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당 연구소는 현재 심혈관 보호 효과가 탁월한 천연물 신약의 전임상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인류의 모든 질병 치료를 위한 다양한 식물 성분의 연구개발 역량을 확충해 나가고 있습니다.

다양한 제형의 개발경험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제품의 출시와 Pelletization technology 등의 서방화?지속성 제제기술, Oral disintegrating tablet formulation 기술 등을 응용하여 차별화된 Core Technology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그 결과물을 국내시장뿐만 아니라 세계시장에도 진출 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신약연구의 마지막 단계로 천연물 신약과 small molecule 합성신약에 대한 Formulation도 진행 중입니다.한편 한화제약의 계열사인 NaturaLife의 위탁연구로 소비자 지향적인 건강기능식품을 개발하여 해외에서 판매가 가능한 경쟁력 있는 제품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저분자 화합물에서 약효가 있는 화합물의 골격을 알아내는 것이 신약 후보 물질 개발 초기의 중요한 기반기술입니다. 당 연구소에서는 약물과 약물의 표적인 단백질과의 상호 작용을 컴퓨터 내에서 시뮬레이션함으로서 새로운 약물 골격을 찾아내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로 단백질의 결합 부위에 화합물의 구조를 결합하여 결합력의 크기를 통해 가상 스크리닝하여, 약효를 보일 가능성이 높은 구조를 선별합니다.